회계관리 1급 세무회계 적중문제 오답노트 해설(3)
1. 급여생활자인 소득자가 기타소득이 발행한 경우 소득세법상 원청징수의무자가 징수하여 납부해야할 원천징수세액(지방소득세 포함)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ㄱ. 신문사 원고료 1,000,000원
ㄴ. 라디오 해설 사례금: 1,000,000원
정답: 176,000원
해설: ㄱ, ㄴ 모두 60%의 필요경비가 인정되는 기타소득임.
(1,000,000 + 1,000,000) x (1 - 60%) x 22% = 176,000원
2. 소득세법상 현행 과세기간의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이 550,000,000원일 경우 적용되는 소득세율은 몇 %인가?
정답: 42%
3. A사는 2025년 6월 25일 B사에게 책상을 공급하고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매출대금 110,000,000원을 어움으로 교부받았다. 그런데 2025년 8월 20일 B사의 부도로 인해 A사는 동 어음에 대해 은행 부도확인을 받았다. A사가 대손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공제시기 및 그 금액은 얼마인가?
정답: 2026년 1기 확정신고 , 10,000,000원
해설:
- 공제시기: 대손확정일은 어음 부도일로부터 6개월 지난 날(2025년 2월 21일)이 속하는 확정신고 시
- 대손세액공제 = 대손금액 110,000,000 x 10/110 = 10,000,000
3. 도매업을 영위하는 A사의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은?
ㄱ. 총매출액(매출에누리, 매출할인 반영 전) 60,000,000원
ㄴ. 매출할인 10,000,000원
ㄷ. 매출에누리 20,000,000원
ㄹ. 기계장치 처분액 5,000,000원
정답: 35,000,000원
해설: 60,000,000 - 10,000,000 - 20,000,000 + 5,000,000 = 35,000,000
4. 부가가치세법상 과세대상에 해당하는 것은?
1) 특허권을 대여하는 경우
2) 부모에게 음식용역을 무상으로 공급하는 경우
3) 고용계약에 의해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
4) 담보목적으로 부동산 권리를 인동하는 경우
정답: 1번
해설: 특허권의 대여는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므로 과세대상에 해당함.
5. 부가가치세법상 과세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는 자에 대한 최초의 과세기간은 사업개시일과 사업자등록일 중 빠른 날로부터 그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종료일까지로 한다.
2) 사업자가 폐업하는 경우의 과세기간은 폐업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개시일로부터 폐업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종료일까지 한다.
3) 간이과세자의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
4) 간이과세자가 간이과세포기를 할 경우 일반과세자의 과세기간 시작점은 포기신고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날 1일이다.
정답: 2번
해설: 사업자가 폐업 시 폐업일자까지를 과세기간으로 봄.
6. 부가가치세법상 면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가공식료품은 수입산을 불문하고 면세대상이나, 가공하지 않는 '비식용 농산물'은 국산만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이다.
2) 면세포기신고를 한 사업자는 신고한 날로부터 3년간 부가가치세 면제를 받지 못한다.
3) 유연탄의 공급은 과세되지만 무연탄의 공급은 면세된다.
4) 도서의 공급은 면세되지만, 도서대여용역의 공급은 과세된다.
정답: 4번
해설: 도서대여용역도 면세됨.
7. 부가가치세법과 관련된 가산세가 적용되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사업자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명세 전송기한이 지난 후 발급전송했다.
2) 2025년 7월 10일 사업을 개시한 후 10일 뒤인 7월 29일에 사업자 등록을 신청했다.
3) 재화를 공급하면서 타인 명의를 빌려 세금계산서를 발행했다.
4) 영세율로 공급한 금액에 대해 영세율 과세표준을 신고하지 않았다.
정답: 2번
해설: 사업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자등록을 신청한 경우에는 미등록가산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8. 부가가치세의 신고와 납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자는 각 예정신고 또는 확정신고를 할 때 세금계산서합계표, 영세율첨부서류, 현금매출명세서를 함께 제출해야한다.
2) 사업자가 폐업하는 경우 해당 과세기간 종료 후 25일 이내에 부가가치세 신고를 해야한다.
3) 예정신고누락분과 가산세가 있을 경우 확정신고 시 추가하여 신고한다.
4) 사업장 관할 세무서장은 결정, 경정에 의해 추가로 발생한 환급세약을 지체없이 사업자에게 환급해야한다.
정답: 2번
해설: 페업일 다음날 25일까지 신고, 납부해야함.
자료출처: 2024 SD에듀 hoa 회계관리 1급
참고강의: 해커스금융 회계관리 1급 김하나 교수님
참고서적: 삼일회계법인 회계관리 1급 세무회계 기본서
* 개인공부용으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