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모으기

20대 직장인 가계부 24년 5월 4주차ㅣ 술약속·모임비용ㅣ1억 모으기

땅꿀🍯 2024. 9. 1. 09:45
반응형

 

20대 직장인 가계부, 2024년 5월 4주차 입니다.

 

 

[기본정보]

📌 나이: 연나이 27세

📌 소득: 20대 중후반 평균 수준

📌 결혼: X

📌 자취: X, 부모님께 생활비 드리며 함께 거주

📌 직업: 회사원

📌 점식식대: 회사지원

📌 가계부정리방법: 편한 가계부 어플 + 스프레드 시트 엑셀

📌 1억 모으기 진행중


✅ 5/22: 무지출


✅ 5/23 지출: 19,550원

  • 문화생활: 7,000원
  • 편의점: 1,500원
  • 식비: 11,050원

✅ 5/24 지출: 55,966원

  • 식비: 55,966원

비고: 친구들과의 술자리.


✅ 5/25 지출: 37,880원

  • 데이트: 37,880원

✅ 5/26 지출: 27,400원

  • 편의점: 4,000원
  • 식비: 23,400원

✅ 5/27: 무지출


✅ 5/28: 무지출


✅ 5/29 지출: 13,500원

  • OTT 정기결제: 13,500원

✅ 5/30 지출: 31,900원

  • 데이트: 31,900원

✅ 5/31 지출: 4,500원

  • 식비: 4,500원

⭐지출 정리 및 회고

 

✅ 지출 총계: 190,696원

✅ 무지출 횟수: 3회

 

5월 마지막 주에는 예상치 못했던 친구들과의 술자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평소보다 지출이 컸는데요,

 

저는 원래 술을 잘 마시도, 좋아하지도 않아서 술약속을 거의 잡지 않는 편입니다.

 

보통 술약속이 생기면 일반적인 약속때보다 지출이 커지는데 저는 이런 약속이 많지 않으니, 자연스럽게 저축을 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예전에는 그래도 종종 마셨는데, 이제 굳이 먼저 술자리를 제안하지 않는 것으로 횟수를 조절하고 있어요.

 

지난 날을 돌아보니 술 마시는 날엔 충동소비가 더 많아지더라구요.

 

혹시 술자리 좋아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약속을 조절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술을 좋아했다면 정말 어려운 부분이었을 것 같거든요..

 

술자리 외에도 모임 많으신 분들의 비용 관리법도 정말 궁금합니다.

 

본인만의 팁이 있으시면 공유부탁드려요!!

 

그럼 오늘도 화이땅!


 

 

반응형